시제란 어떤 사건이나 행위가 어떤 시점에 있었는지 나타낸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언어는 시제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과거-현재-미래’로 구분된다.
현재시제의 종결형은 평서형, 의문형, 감탄형, 종결어미를 그대로 사용한다. 한국어 현재시제는 특정한 문법 형태소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과거시제나 미래시제 형태소가 나타나는 자리에 아무런 형태소도 실현되지 않는다. 관형사형의 현재시제 표시는 동사 어간 뒤 ‘-는’을 사용하고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없는 형용사 뒤에는 ‘-ㄴ, 어간 끝음절에 받침이 있는 형용사 뒤에는 ’-은‘을 붙이고, ’명사-이다‘ 뒤에는 ’-ㄴ‘을 붙인다. 현재시제를 사용하는 다른 경우에는 보편적인 진리나 습관적인 사실, 미래에 일어날 것임이 분명한 일인 경우이다.
과거시제의 표시는 종결형의 과거시제의 경우 ‘-었’을 사용한다. 어간 모음이 ‘ㅏ, ㅗ’인 경우(하-제외) 어단 뒤에 ‘-았다’를 사용한다. 어간 끝모음이 ‘ㅏ, ㅗ’ 이외의 모음인 경우나 ‘명사+이’인 경우에는 ‘-었다’를 사용한다. 어간 끝음절이 ‘하’인 경우에는 ‘-였다’를 연결해 ‘하였다’를 만들고 이를 줄여 ‘했다’로 나타낸다. 과거시제 표시 ‘-있었-’은 과거의 사건이나 사실이 현재와 다르거나 현재와는 시간상 거리가 멀어 단절되어 있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연결형의 과거시제를 표시할 때 문장과 문장의 연결어미에는 ‘-지만, -으나, -기 때문에’가 있다. 연결어미 ‘고’의 경우 앞 문장과 뒤 문장의 주어가 같은 경우 종결형에만 시제 표시를 한다. 앞뒤 문장의 주어가 다른 경우에는 과거시제를 나타내는 말을 앞뒤 문장에 모두 넣어도 되고 뒤 문장의 서술어에만 넣어 주어도 된다. 과거시제와 함께 쓰이지 못하는 연결어미는 ‘-아서, -어서, -다가, -(으)러, -(으)려고, -(으)면서, (으)ㄹ때’가 있다. 앞 문장의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 뒤 문장의 사건이나 상황이 말생했을 경우에는 ‘-었을 때, -었다가’를 사용한다. 관형사형의 과거시제 표시는 관형사 어미 ‘-ㄴ’, ‘은’을 사용한다. 과거 회상을 나타낼 때는 ‘-더-’를 사용하는데 종결형으로는 ‘-던데(요), -더라, -더군(요), -데(요)’로 쓰이고 연결형으로는 ‘-더니, -던데’로 쓰인다. 관형사형 ‘-던’은 과거 회상의 의미와 함께 행위나 상태가 지속적이고 반복전인 경우를 나타낸다. 형용사나 ‘명사-이다’에 결합한 ‘-던’은 과거에는 그랬으나 현재는 상태가 달라졌음을 의미한다. ‘던’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성격 때문에 순간적 행위, 특정한 시점의 행위나 상태, 일회적인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는 ‘-던’을 연결해 쓸 수 없다. ‘-던’은 과거의 동작이나 상태가 완료되지 않고 남아 있음을 회상할 때도 사용한다. 한편 ‘-었던’은 이미 행위가 완료된 사실이나 과거에 반복적으로 발생한 일을 회상해 나타낼 때 사용한다.
미래시제의 표시에서 먼저 종결형의 미래시제 표시를 보면 동사의 어간 뒤에 ‘-겠-’으로 표시한다. ‘-(으)리-’는 예스러운 표현으로 현대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말은 아니다. ‘-(으)ㄹ 것이다’가 있고, ‘-(으)ㄹ게’는 의문문에서는 사용하지 못한다. 미래시제를 사용하는 다른 경우는 ‘-겠-’, ‘-(으)ㄹ게-’는 말하는 사람의 의지나 가능성, 추측 따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평서문에서 말하는 사람과 주어가 반드시 같은 사람이어야 한다. 문장의 주어는 반드시 일인칭이어야 하며 이인칭이나 삼인칭 경우는 틀린 문장이 된다. 관형사형의 미래시제 표시는 ‘-(으)ㄹ’를 사용한다. 어간이 모음이나 자음 ‘ㄹ’로 끝날 때는 어간 뒤에 ‘-ㄹ’을 붙인다. 어간이 ‘ㄹ’이외의 자음으로 끝날 때는 어간 뒤에 ‘을’을 붙인다. ‘-(으)ㄹ’은 시제를 나타내지 않고 단지 뒤에 오는 성분을 수식하는 기능만 할 경우에는 과거시제 문장 안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이해교육론 - 듣기 교육 (0) | 2024.01.15 |
---|---|
한국어문법연구론 - 부정 표현, 사동과 피동, 양태 표현 (0) | 2024.01.15 |
한국어 - 자음(조음방법) (0) | 2024.01.15 |
한국어 - 모음 (0) | 2024.01.15 |
한국어문법론연구 - 문장의 확대와 안김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