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1

한국의 근현대사 (3) 󰂎1980년 5월 18일 5.18혁명 박정희 대통령이 죽자, 온 국민은 민주적인 정부를 원했지만 그 희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 국군 보안 사령관이었던 전두환은 1979년 12월 12일 쿠데타를 일으키고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은 대한민국의 권력을 장악하려했다. 결국 전두환이 정권을 잡자 1980년 5월 15일 학생들은 서울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광주 학생들도 전주환 정권에 반대해 5월 18일에 모여 시위를 했다. 그러자 군인들은 시민들에게 무자비하게 폭력을 휘둘렀고 총을 쏴버렸다. 이 모습에 화가 난 광주 시민들은 함께 싸울 것을 결심하고 ‘시민군’부대를 만들었다. 시민군은 예비군 무기고를 열어 무기를 들고 전두환 정권에 대항했는데, 이때 전두환 세력은 광주 시민들의 시위를 북한에서 .. 2024. 1. 14.
한국의 근현대사 (2) 3. 현대-대한민국 한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광복을 맞이했으나, 미국과 소련의 한반도 분할 정책과 좌우익 세력의 갈등으로 인해 남북이 분단되어 동일 국가를 세우지 못하고 1948년 대한민국(남한)에서 총선거가 실시된 후 정부가 수립되었고,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조선)이 수립되면서 남북이 분단되었다. 󰂎1950년 6.25전쟁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 공산군이 남북군사분계선이던 38선 지역에 걸쳐 불법 남침함으로써 일어난 한국에서의 전쟁이다. 6.25 전쟁을 겪으면서 분단은 더욱 고착화되고 기반 시설은 대부분 초토화 되었다. 이후 1950년대에 미국으로부터 원조를 받으면서 전쟁의 참혹한 폐허의 상처를 딛고 복구해 나갔고 1960년대 이후에는 유례없는 고속 성장을 이루며, 북조선의 경제.. 2024. 1. 14.
한국의 근현대사 (1) 1. 대한제국 한국사에서의 근대는 일반적으로 1863년 고종의 즉위와 흥선대원군 집권부터 1945년 광복까지의 시기로 분류한다. 이 시기 중 대한제국은 1897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존속한 제국이다. 이 시기에 서구의 문물과 사상이 더욱 유입되었다. 󰂎1904년 제1차 한일 협약 강제 체결 일본은 러시아와 대립하면서 한일 의정서를 체결할 것을 강요했다. 그 후 외교, 재정 등 각 분야에 고문을 두고 대한제국의 내정에 간섭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 한반도와 만주의 패권을 둘러싸고 러시아와 일본이 전쟁을 함. 󰂎1094년 제2차 한일 협약 그 후 일본은 일방적으로 제2차 한일 협약의 성립을 발표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한성에 한국통감부를 설치하였다. *한국통감부는 19.. 2024.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