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하기 - 종결어미 1. 한국어 교육과 어미 교착어적 특성: 시상, 서법, 양태, 화계 등에 따른 다양한 어미의 사용 ㆍ학교에 간다. → 가-ㄴ다 ㆍ학교에 갔다. → 가-았-다 ㆍ학교에 가겠다. → 가-겠-다 ㆍ학교에 가니? → 가-니 ㆍ학교에 가겠구나. → 가-겠-구나 ㆍ학교에 가라. → 가-(아)라 ㆍ학교에 가십시오. → 가-십시오 ㆍ학교에 가시더라. → 가-시-더-(어)라 2. 어미의 분류 어미 어말어미 종결어미 비종결어미 선어말어 X 3. 활용 1) 활용이란? ㆍ동사나 형용사, ‘이다’가 그 문법적 의미와 역할에 따라 다양한 꼴로 나타나는 것 ㆍ활용의 형태: 동사 어간, 형용사 어간, ‘명사+이-’ 뒤에서 어미의 끝이 달라지거나 제약이 나타남 ㆍ언니가 시장에 간다. (가-ㄴ다/는다) ㆍ언니는 예쁘다. (예쁘-다) ㆍ.. 2024. 1. 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하기 - 과제 중심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 1. 이론적 역사적 배경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의 한 갈래 > 언어는 의미 표현의 수단: 의미를 형태보다 중시 2. 목표 및 원리 ㆍ목표: 학습자들이 자기가 참여하게 되는 일반적인 활동과 과제를 수행하면서 정확하고 효과적 ㆍ원리: 구조주의적, 기능적, 상호작용적 학습 모형. 교수요목은 실제적 과제와 교육적 과제의 두 가지로 구성. 의사소통이 포함된 활동이 언어학습의 기본이 되어야 한다. 목표언어를 사용하도록 과제를 제시하며, ‘유의미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는 활동을 하게 되면 학습이 증진된다. 학습자 요구조사를 통한 과제구성이 필요. 과제란? 학습자가 일정한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하여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외국어를 사용하는 활동. 짝 활동, 그룹 활동의 형태로 수행. 3.. 2024. 1. 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하기 - 디자인 교수법 & 총체적 언어 접근법 [디자인 교수법] 1. 이론적 역사적 배경 ㆍ인본주의적 접근법을 도입한 1970년대의 방법론적 시도. 언어교육의 정설을 비판하고 언어교육학 외부에서 교수법을 개발. 학습자들의 책임 강조. 공동체 언어 학습법. 침묵식, 암시, 전신 반응 교수법 등 ㆍ칼로저스의 상담학습법에 기초, 상담심리학과 사회집단역학의 사고방식을 언어학습에 응용하여 찰스 커렌이 개발. ㆍ교사는 상담사가 되어 학습자의 불안, 두려움이 최소가 되도록 배려하면서 진행함. ㆍ교사가 인본주의적 기술을 토대로 학습자의 감정, 지능, 신체 반응, 본능적 방어 반응, 학습 욕구 등의 관계를 이해하는 ‘전인 학습’을 지향 2. 목표 및 원리 ㆍ교수, 학습 과정에 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작용 및 학습자 간 상호 협동의 과정을.. 2024. 1. 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하기 -자연교수법 & 의사소통식교수법 [자연 교수법] 1. 역사적 이론적 배경 용어 : 터렐 1977년 처음 사용. 제2 언어 습득 이론의 ‘자연주의적’ 원칙들을 통합한 언어 교수 방법 개발 시도. 1980년대 크라쉔의 종합적인 제2 언어 습득 이론의 근거 크라쉔의 제2 언어습득이론 - 습득-학습 가설, 입력 가설, 모니터 가설, 감성 여과 가설, 자연 순서 가설 2. 목표 제2 언어 습득 이론에 근거하여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둔다. 3. 특징 및 방법 ㆍ언어의 일차적인 기능을 의사소통으로 보고 의사소통 능력의 교수에 중점 ㆍ외국어 습득이 모국어 습득과 같이 무의식적이고 비공식적인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봄 ㆍ학습자의 모국어에 의지하지 않고 문법 분석, 물법 연습, 그리고 목표어의 사용에 중점을 둔다.. 2024. 1. 17.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