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쓰기 수업을 설계하는 원리
쓰기 수업을 설계하는 원리 (1) 내용, 구조, 문법, 철자 등의 균형 잡힌 교육 ①내용; 생각, 논지가 일관된 초점을 가지고 전개되도록 글을 쓰도록 하며, 개인적인 경험, 예시, 사실 등을 통해 생각을 발전해 가도록 쓰는 방법을 활용한다. 묘사, 원인과 결과, 비교와 대조 등의 글에 맞는 내용을 갖추도록 한다. ②구성; 글의 종류에 따른 텍스트 구성을 갖추도록 한다. 서론, 본론, 결론을 적절하게 구성하여 논리적으로 연속성을 갖도록 한다. ③담화; 단락의 통일성, 응집력이 있도록 담화를 구성하며, 담화 표지를 적절히 사용하도록 한다. ④문법; 문법적으로 적절한 문장을 사용하도록 한다. ⑤어휘;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도록 한다. ⑥기계적인 부분; 철자, 구두점, 들여쓰기 등을 바르게 쓰도록 한다. (2) ..
2024. 1. 15.
한국어교육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1) 학습자 집단의 다양화와 교육기관의 다양화 2000년대 초반의 한국어 학습자 집단: 순수어학생, 직업관련 학습자, 해외 대학 및 고등학교의 수강생, 해외 입양아 집단, 외국인 취업 연수생, 재외동포 등으로 구분됐다. 그러나 현재는 이들 집단 외에 국내 대학 입학생, 입학 준비를 위한 연수생, 이주 노동자 및 예비 유입 예정 노동자 집단, 국제결혼이주여성 집단, 순수 단기 연수생, 해외 한국 관련 회사 근무자 등 집단이 다양해짐. 국내 한국어교육기관도 대학의 부설기관 정도에서 이주여성 전문 교육기관, 이주노동자 교육 기관 등이 신설됨. 국외의 경우에는 한국문화원 및 한국교육원, 세종학당 및 노동자를 위한 사설학원, 일반인 대상 사설학원, 한국 유학 준비학원 등 다양해졌고 그 수도 크게 증가했다. 이러한..
2024. 1. 15.